성모 S 마취통증의학과

테니스엘보 / 골프엘보

ST.MARY S PAIN CLINIC

손목에 힘이 들어가면,
발생하는 통증

ST.MARY S PAIN CLINIC

손목을 뒤로 젖히거나 젓가락질, 옷을 입고 벗는 동작 등에서 통증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테니스엘보
  • 골프엘보

테니스엘보

01

테니스엘보 (외측상과염)란?

테니스와 같이 팔꿈치의 외측상과와 건의 결합부에 반복된 과부하를 유발하는 동작이 원인이 되어, 통증 / 장애를 나타내는 상태를 말합니다.

골프엘보(내측 상과염)보다 7배에서 10배 정도 빈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02

테니스엘보 선행요인

30대 이후부터 60대 사이까지 발생하며, 주로 40대 환자에게서 많이 보입니다.

테니스 엘보는 성별이나 오른손 / 왼손잡이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반복된 동작에 의한 건의 미세손상이 원인이 됩니다. 물건을 강하게 쥐는 동작으로 증상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테니스엘보 진단

테니스엘보 진단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 진단은 주로 증상 / 증후에 따라 임상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외측 상과부의 통증과 압통을 호소하면서 손목을 손바닥쪽으로 구부려 건을 신전시키거나 손등쪽으로 손을 구부린 상태에서 검사자가 손을 반대로 밀면 통증을 호소하기도합니다.
  • 초음파나 MRI에서 신전근건이 외측 상과위치에서 조직변성을 보이는데 이는 건의 염증, 퇴행성 변화, 부분파열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03

테니스엘보 증상과 진단

주 증상 부위는 팔꿈치 바깥쪽, 즉 외측상과이며 손목의 세번째와 네번째 손가락으로 불편함이나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와 손목사이 근육이 뻐근하고 쑤시며 손을 손등쪽으로 강하게 들어올리거나 손으로 물건을 쥐려고 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04

테니스엘보 치료

  • 테니스 혹은 골프엘보로 진단을 받으면 팔꿈치 관절 및 손목관절의 휴식 / 소염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 통증이 완화되면 재활치료를 통하여 조직을 개선, 강화시켜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칭과 강화운동을 권해드립니다.

    - 팔근육의 마사지도 근육과 건의 긴장도를 감소시켜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필요 시 일시적인 보호대 착용도 할 수 있습니다.

  • 보존적인 치료에도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다면, 체외충격파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단, 조직변성이 심하고 오래된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골프엘보

01

골프엘보란?

골프와같이 팔꿈치의 내측상과와 건의 결합부에 반복된 과부하를 유발하는 동작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임상 상태를 말합니다.

테니스엘보(외측상과염)보다는 발생빈도가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골프보다는 야구선수에게서 흔히 나타나고 테니스, 볼링, 양궁, 역도선수, 목수, 요리사 등과 같이 팔과 손목 그리고 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업군과 연관되는 질환입니다.

02

골프엘보 선행요인

남녀 발생율은 비슷하며 30대에서 50대 사이에 빈발합니다.

주관절(팔꿈치)을 완전히 신전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팔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취할 때 발생하며, 전체의 75%에서 오른손잡이의 경우 우측에, 왼손잡이의 경우 좌측에 발생합니다. 엘보라고 불리는 내외측상과염은 과거 염증성 병변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반복적인 스트레스 또는 과사용으로 건의 미세파열이 발생한 후, 불완전한 회복이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03

골프엘보 증상과 진단

골프엘보는 주로 팔꿈치 안쪽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부위를 눌렀을 때 압통을 호소합니다.

물건을 쥐거나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강하게 구부리면 통증이 유발되며, 아침에 일어났을 때 팔꿈치가 뻐근하고 뻣뻣함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골프엘보의 경우도 증상, 증후에 따라 임상적으로 진단을 하는데 내측 상과부의 통증과 압통이 있으며 손목을 손 등쪽으로 신전싴니거나 환자에게 손바닥쪽으로 힘을 주게하면서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밀면 통증을 호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