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MARY S PAIN CLINIC
01
손목터널, 즉 수근관이란 손목을 이루는 뼈와 손목을 가로지르는 인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인데,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지나갑니다. 수근관증후군은 어떠한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여기를 지나는 정중신경 (Median Nerve)이 손상되어 신경 지배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평생 이 질환에 걸릴 확률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질환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02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원인이 뚜렷한 것들로는 수근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감염, 염증성 질환,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수근관 내 발생한 종양 등이 있습니다.
03
간혹 정중신경의 압박이 심한 경우, 저림 및 감각 저하를 넘어 엄지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크게 감각이상 및 운동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01
손가락의 반복적인 과사용으로 인한 대표적인 질환이 방아쇠수지입니다. 손가락 건(힘줄)을 둘러싸고 있는 막이 붓거나 결절을 형성할 때 발생하며,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기가 어렵고 그 동작을 할 때, 방아쇠를 당길 때 나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02
오랜시간 손을 사용하여 일을 하는 직업군과 반복적인 집안일을 하는 주부에게 자주 발생하지만,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03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펼 때 바로 펴기 힘들고,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걸리는 느낌이 들 정도가 되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를 1~2회 주사하게 됩니다.
01
건초염은 주로 손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손목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2개의 힘줄(장무지외전근, 단무지 신근)과 이 힘줄을 싸고있는 막(건초) 사이에 마찰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손목을 무리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연령과 관계없이 많이 발병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02
미세한 손상이 관절에 계속 반복되고, 쌓이면서 건초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킵니다. 즉,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 한 번의 큰 부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절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작은 외상이나 자극이 누적되어 발생됩니다.
03
초기라면, 관절에 통증이나 뻐근함이 있을 때 휴식을 취해 최대한 통증부위에 자극을 주지 않고 부기나 열감이 있는 경우에는 얼음찜질을 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평소 열감이 없을 때 온찜질을 통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면 도움이 됩니다.
만약 충분한 휴식과 찜질로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합니다. 건초염은 보통 일주일 정도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부목과 보조기로 움직임을 줄이면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01
삼각섬유연골손상은 손목의 요골과 척골 등 8개의 손목뼈 사이에 있는 삼각섬유연골복합체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파열되면서, 손목의 새끼손가락 부위로 통증을 유발하고, 손목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02
잦은 손목 사용에 의한 퇴행성 마모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는 삼각섬유연골손상은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전업주부(걸레 비틀어 짜는 등의 동작) 외에도 헤어디자인,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사무직 종사자, 운동선수, 교사 등에서 쉽게 나타납니다.
03
외상성 파열은 외상으로 인하여 삼각섬유연골의 중앙부 또는 변연부가 파열되어 나타나며, 퇴행성 손상은 척골두와 월상골 사이의 반복적인 충돌로 인해 중앙부가 마모되면서 월상골의 연골연화와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손상을 동반하게 됩니다.
치료는 통증이나 파열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파열의 정도가 경미하다면 손목고정이나 소염진통제, 물리치료 등을 이용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에서 손상된 인대, 힘줄 등을 회복시키는 치료로 주사제를 인대나 힘줄이 뼈에 부착되는 부위에 주사해 성장인자의 생성을 촉진하고, 혈액순환 증진 및 영양분 공급을 통해 조직을 회복시켜줍니다.
손상된 조직의 세포내 DNA를 자극하여 세포 재생을 촉진하는 비수술적 치료입니다. 손상된 인대, 힘줄, 연골 등을 재생하는데 도움이 되어 통증개선, 조직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