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 S 마취통증의학과

공지사항

ST.MARY S PAIN CLINIC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립니다.

ST.MARY S PAIN CLINIC

통증의학과와 영상의학과 의료진의 협진,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합니다.

무릎인대손상 비수술적 치료 어떻게 할까요?

작성일 : 2024-06-26

1.jpg


안녕하세요!

광명통증의학과 성모s통증의학과 입니다.

무릎인대손상 질환과 이 질환의 치료를 알려드릴게요 ^^


tip034t025279.jpg


무릎인대손상은 무릎의 측부인대는 무릎의 내측과 외측에서 경골과 대퇴골을

연결하고 있으며, 무릎의 측면 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입니다.


측부인대에 대한 외력이 측부인대의 강도를 초과할 정도로 과도한 경우

측부인대의 파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측부인대 파열은 인대의 중앙부 또는 경골과 대퇴골 부착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측부인대의 손상과 가장 흔히 동반되는 손상은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입니다.


내측측부인대의 손상은 외측측부인대 손상에 비해 더 흔히 발생하지만,

외측측부인대의 손상시가 무릎의 불안정에는 더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twi001t437381.jpg


무릎인대손상의 증상으로는


- 손상된 인대에서의 출혈로 인대 주위에 부종과 멍이 관찰되며,

발을 땅에 디디는 순간 통증과 무릎의 강직이 발생하게 됩니다.


- 부종과 멍이 다소 가라앉으면, 측부인대의 손상으로 발생한 무릎의 불안정으로 인해

보행시나 기립자세에서 무릎에 힘이 빠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 손상된 인대의 치료가 적절히 되지 않은 경우 장기간 무릎불안정이 지속됩니다.

 

tip101t003810.jpg


무릎인대손상의 치료방법은 

  급성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손상인대 주위 부종 감소와 통증 완화를 위해

소염투여와 재활치료를 하면서, 체중부하의 조절을 위한 목발 또는 cane의 사용, 보호대의 사용,

활동의 제한 또는 조절을 합니다.


내측측부인대의 단독손상은 경도손상의 경우 4-6주의, 중등도손상의 경우 2개월의

심한 손상의 경우 3개월의 비수술적인 치료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심한 외측측부인대의 손상에서 무릎의 불안정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심하지 않은 측부인대손상에서 3개월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인대의 치유가 불완전하게 되어

보행시나 스포츠 활동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3-5회의 체외충격파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에는 인대복원술, 인대재건술, ligament tightening, 인대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손상된 ㅡㅊㄱ부인대의 치유가 적절히 이루어지면, 인대의 elasticity의 회복, 무릎관절운동범위의 회복,

무릎 근력의 회복을 위한 적절한 운동치료를 시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에서 환자분 혼자

하실 수 있는 운동으로는 실내 자전거의 등속성 운동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