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 S 마취통증의학과

공지사항

ST.MARY S PAIN CLINIC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립니다.

ST.MARY S PAIN CLINIC

통증의학과와 영상의학과 의료진의 협진,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합니다.

동결견, 어깨 통증은 이 때문?

작성일 : 2024-06-26

.동결견.png

 

안녕하세요, 성모S마취통증의학과입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몸에는 노화가 찾아오고, 몸 여기저기가 아픕니다.

노화는 많은 곳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통증을 느끼고 있으면서도

이를 질환이라고 생각하지 못하는 쪽이 바로 어깨입니다.

이렇게 방치되었다가 점점 더 통증이 심해질 수 있는 

어깨 질병 중의 하나인 동결견, 오늘은 동결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모S마취통증의학과_중간이미지28.png

 

어깨 통증, 동결견이란?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오십견이라고 하는 이 질환은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게 자주 발생되면서 이런 명칭이 붙었습니다.

어깨 관절을 주머니 모양처럼 감싼 부위, 관절낭에

염증과 관절막이 두꺼워짐으로 인해서 어깨 관절에 통증을 발생시킵니다.

 

성모S마취통증의학과_중간이미지29.png

 

어깨 통증, 동결견의 증상은?

초반에는 통증은 느껴져도 팔을 올리는 등의 자세가 어렵지 않은

결빙기를 지나서 동결기가된다면 통증과 더불어 어깨가 마치

얼어붙은 것 같이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찾아옵니다.

가만히 있더라도 심하게 통증을 느끼며 일상에 많은 지장을 줍니다.

그 뒤에 해빙기에 움직임이 회복되면서 약물이나 운동치료로 회복력을 높여 주어야 합니다.


 

 

성모S마취통증의학과_중간이미지30.png

 

어깨 통증, 동결견의 치료방법은?

이를 단순한 통증이라고 생각하고 원인에 맞지 않은 

치료를 진행해서 증세가 더 나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가 진단이 아닌 전문의를 찾아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증세가 심하지 않다면 비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하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경과가 없으며 심한 통증이 이어지면 수술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나 일상에서도

동결견 예방을 위해서 무리한 어깨관절 움직임은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늘 긴장이 된 상태로 굳어진

어깨를 자주 푸는 것이 좋답니다. 최근, 50대 뿐 아니라 

운동 부족, 잦은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30-40대에게도 많이 나타납니다.

어깨 통증이 찾아온다면 꼭 정확한 진단,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