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 S 마취통증의학과

공지사항

ST.MARY S PAIN CLINIC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립니다.

ST.MARY S PAIN CLINIC

통증의학과와 영상의학과 의료진의 협진, 정확한 진단으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아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합니다.

광명통증의학과 편두통 이란??

작성일 : 2024-06-26

1.jpg


안녕하세요 :)

광명통증의학과 성모s통증의학과 입니다.


흔히 알려진 두통인 편두통은 혈관성 두통의 일종으로 주기적으로 머리 한쪽의

두통을 호소하게 되며, 박동성 두통이 특징입니다.


tip101t004846.jpg


대개 한쪽 관자놀이 부분이나 눈 속이 욱신거리며 차차 머리 한 쪽으로 퍼지고

맥박이 치는 듯한 규칙적으로 아픈 통증을 호소하며,

편두통 환자의 40%는 양쪽에서 두통을 느낍니다.


대개 10대에서 20대의 여성이 많으며 짧으면 2~3시간, 길게는 2~3일 지속 됩니다.

일주일 또는 한 달에 한 두 번씩 반복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편두통을 앓는 사람들은 수년 동안 반복되는 두통을 호소하게 됩니다.


twi001t307053.jpg

 

활동, 빛, 소음 등이 악화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어둡고 조용한 장소에서

그 증상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스트레스, 감정, 냄새, 음식 등으로 촉발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월경 기간에 나타나거나 악화됩니다.


twi001t1619606.jpg


편두통의 특징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 비정상적인 감각이 동반되는 것 입니다.

갑자기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왜곡되거나 박동성 빛이 보일 수 있습니다.

15~30분 정도 지속되며 두통이 시작될 것이라는 경고를 줍니다.


어떤 경우 청각, 후각, 촉각의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전조증상은 편두통 환자의 일부에서만 나타나며,

매번 동반되지는 않습니다.

캡처.JPG


편두통의 치료 방법은 발생 빈도와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가끔식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진통제에도 잘 반응하는 반면,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심한 경우 다른 치료를 사용합니다.


* 치료성 약물은 급성기 약물과 예방으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급성기 약물으로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세트아미노펜,카페인과 같은

비처방전 약물과, 처방전이 필요한 트립탄계열과 에르고타민 계열 약물이 있습니다.


* 에방형 약물은 인데랄, 테놀민과 같은 베타차단제, 데파코트, 뉴론틴, 토파맥스와 같은

항경련제, 노프라민과 같은 삼환성 항우울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방형 약물은 매일 먹어야 효과가 있습니다. 어떤 약을 선택할지는 이득과 부작용을

평가 후 결정하게 됩니다.


*편두통에 효과가 있는 신경 차단법으로는 목 부위에 있는 흥분성 자율신경의 하나인

성상신경절을 반복, 차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성상신경절은 머리,팔,상체에서 혈관의 수축,확장을 담당하는 자율신경의 일종인

흥분성 교감신경으로 이러한 과민상태에 있는 교감신경의 흥분을 국소마취제로 반복,

억제하여 정상상태로 되돌려 줌으로써 편두통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지 말고 진단을 받고

정확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상 성모s통증의학과였습니다.